본문 바로가기
중국어

중국어의 7대 방언

by 비전노트 2024. 2. 2.

  우리나라의 사투리처럼 중국어에도 사투리가 있습니다. 중국어 표준어인 보통화와 비교하면 전혀 다르게 들리는 경우도 많아 거의 외국어 수준이라고 할 정도로 어려운 방언들도 많습니다. 중국어의 방언은 중국의 일정 지역에서만 통용되지만 그 자체로도 완전한 체계를 갖추고 있습니다. 종류는 무수히 많지만 크게 북방방언, 오방언, 상방언, 감방언, 객가방언, 민방언, 월방언의 7대 방언으로 구분합니다. 지금부터 7대 방언의 특징에 대하여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중국어의 7대 방언 소개 메인 이미지
중국어 7대방언

1. 북방방언

  북방방언은 현대 표준 중국어의 기초가 되는 방언으로 베이징말을 대표로 합니다. 북방방언을 사용하는 지역이 가장 광범위한데 사용인구는 한족 총인구수의 73%를 차지합니다. 북방방언은 지역에 따라 다시 4가지의 차방언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 차방언에는 화북-동북방언, 서북방언, 서남방언, 강회방언이 있습니다

2. 오방언

  오방언은 전형적인 쑤저우 말을 대표로 하는데, 현재의 영향력 정도로 보면 상하이 말이 오방언을 대표한다고 봅니다. 상하이시와 쑤저우성 양쯔강의 남쪽, 전장의 동쪽 지역 및 난퉁의 일부 지역, 저장의 대부분 지역에서 사용합니다. 오방언을 사용하는 인구는 한족 인구수의 7.2% 정도를 차지합니다. 중국 경제의 중심지인 상하이는 예전부터 우리나라 기업이 비즈니스 차 많이 교류하는 지역입니다. 상하이 사람과 비즈니스를 할 때 비즈니스 자리에서 중요한 말은 상하이 사람들끼리만 오방언으로 대화를 나누어 잘 못 알아듣게 하기도 한다고 하죠. 상하이 토박이가 아니면 알아듣지 못해서 통역가도 통역을 못한다고 합니다. 저도  소문으로만 들은 거라 정확하지는 않습니다만 그 정도로 오방언이 중국인에게도 외국어에 가깝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3. 상방언

  후난성 대부분 지역에서 사용하며 창샤 말을 대표로 합니다. 신(新)상방언과 구상방언으로 나뉘어 차이점이 있으며, 신상방언은 창샤에서 주로 사용되며 북방방언의 영향을 많이 받았습니다. 상방언의 사용인구는 한족 인구수의 3.2%에 해당합니다.

4. 감방언

  강서성 대부분의 지역에서 사용하며 난창 말을 대표로 합니다. 사용인구는 한족 인구수의 약 3.3%에 해당합니다.

5. 객가방언

  광동매현 말을 대표로 합니다. 소수민족인 객가인들은 광동, 푸젠, 대만, 강서, 광서, 후난, 사전 등의 성에 분포하는데, 그중 광동 동부와 북부, 복건 서부, 강서남부, 광서동남부에 주로 거주합니다. 객가인들은 과거 중원으로부터 남방지역으로 이주하여 왔습니다. 광범위한 지역으로 흩어졌음에도 객가방언은 여전히 그 계통을 잘 유지하며 차이가 크게 나지 않는다고 합니다. 객가방언 사용인구는 한족 총인구의 3.6%에 해당합니다.

6. 민방언

  민방언은 푸젠, 하이난의 대부분 지역, 광동동부, 레이주반도 일부 지역, 저장남부 온주지역의 일부분, 광동의 소수 지역, 대만의 대부분 한인거주 지역에서 사용됩니다. 사용인구는 한족 총인구의 5,7%에 해당합니다. 민방언은 민동, 민남, 민북, 미눙, 푸셴방언의 차방언으로 다시 나뉩니다. 민동방언은 복건동부 민강 하류 지역에 분포하며 푸주 말을 대표로 합니다. 민남방언은 민남 24현과 대만, 광동의 차오샨 지역, 레이주반도, 하이난, 저장 남부 등지에 분포하며, 샤먼 말을 대표로 합니다.

7. 월방언

  광저우 말을 대표로 하며 광동 중부와 서남부, 광서 동부와 남부의 약 백여 개의 현 및 홍콩, 마카오 등지에서 사용합니다. 월방언은 내부적으로도 또 차이가 있어 사읍 말, 양장 말, 구이난 월방언 등이 모두 광저우 말과는 또 다른 발음의 특색을 가집니다. 월방언의 사용인구는 한족 총인구수의 약 4%에 해당합니다. 과거 우리나라에서 유행했던 많은 홍콩 영화들을 보면 중국에서 사용하는 보통화와는 발음이 많이 다른데, 바로 이런 홍콩 영화에서 사용된 말이 월방언입니다.